대부분의 트레이더는 유동성(Liquidity)과 유인(Inducement)의 핵심 개념을 이해하지 못해 함정에 빠진다.
시장 조성자(은행·기관)는 이 두 개념을 활용해 소액 트레이더의 자본을 흡수한다.
유인(Inducement)의 개념과 주요 발생 지점
유인은 트레이더들이 특정 시점이나 구역에서 거래 진입을 결정하게 만드는 요소이다. 이는 중앙은행 및 대형 금융 기관들이 소액 트레이더들을 시장에 유입시켜 자신들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이다.
주요 유인 발생 지점
1. 오더 블록(Order Block): 최적화된 공급 및 수요 구역으로, 가격이 도달하면 반대 방향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음.
2025.02.06 - [트레이딩] - 오더블럭(Order Block)으로 시장의 핵심 구간을 포착하자
오더블럭(Order Block)으로 시장의 핵심 구간을 포착하자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은 수요 영역(지지 구간)에서 매수하고, 공급 영역(저항 구간)에서 매도하는 기본적인 원칙을 따른다.하지만 모든 영역에서 중요한 지지와 저항이 이루어지진 않는다. 결
brainquests.tistory.com
2. 지지선 및 저항선(Support & Resistance): 많은 트레이더가 지지선에서는 매수, 저항선에서는 매도를 고려하는 구역.
2025.02.12 - [트레이딩] - 전문가처럼 지지선과 저항선 그리는 법: 고급 기법 총정리
전문가처럼 지지선과 저항선 그리는 법: 고급 기법 총정리
지지선과 저항선은 가격 차트 분석의 핵심이다. 이 글에서는 프로 트레이더들이 사용하는 6가지 기준과 실전 예시를 통해 명확한 지지/저항선을 찾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다. 지지선 & 저항
brainquests.tistory.com
3. 스윙 하이(Swing High) & 스윙 로우(Swing Low): 최근 시장에서 가장 높은/낮은 가격대.
4. 추세선(Trend Line): 트레이더들이 지지 또는 저항으로 활용하는 선으로, 가격이 닿으면 반응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
2025.02.10 - [트레이딩] - 최고의 추세선 트레이딩 전략 (고급)
최고의 추세선 트레이딩 전략 (고급)
추세선은 시장의 방향을 읽고 수익성 있는 진입 시점을 포착하는 강력한 도구이다. 이 글에서는 프로 트레이더들이 사용하는 추세선 전략을 단계별로 설명하겠다. 추세선이란?시장의 추세(스
brainquests.tistory.com
유동성의 개념과 시장에서의 역할
유동성이란 시장에서 체결을 기다리는 대량의 매수 및 매도 주문을 의미한다. 유동성은 가격 변동을 위한 연료 역할을 하며, 시장 조성자들은 이를 활용하여 트레이더들을 함정에 빠뜨리곤 한다.
주요 유동성 구역
- 손절매(Stop Loss) 구역: 트레이더들의 손절매 주문이 몰려 있는 곳.
- 동일 고점(Equal Highs) 및 동일 저점(Equal Lows): 여러 트레이더가 동일한 가격 수준을 지지 또는 저항으로 보고 설정한 구역.
- 오더 블록(Order Block) 아래/위: 가격이 오더 블록을 테스트하면서 생성되는 유동성
유동성과 유인의 차이점
- 유동성(Liquidity): 트레이더들이 시장에서 퇴출되도록 만드는 요소로, 손절매 및 대량 주문이 포함됨.
- 유인(Inducement): 트레이더들이 시장에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요소로, 특정 패턴과 가격 움직임을 통해 이루어짐.
시장 조성자(은행·기관)의 함정 전략 및 피하는 방법
첫 번째 함정 전략
아래 차트를 보면 전형적인 하락 추세 모양으로, 구조 붕괴(BOS)를 만들면서 가격 되돌림이 없는 오더 블럭(OB) 2개를 형성했다.
구조 붕괴 이전에 상방 돌파 시도가 있었으나 이전 고점(LH)을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하였으며, 이런 형태는 시장 조성자가 스마트 머니 컨셉& ICT 트레이더에게 혼돈을 주어 진입 시점을 이용하여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후 가격은 두번 째 영역인 유인 구간으로 들어왔으며 트레이더들은 확신에 차서 하락으로 진입할 것이다.
이때 시장 조성자는 소액 트레이더들의 유동성을 확보한 후 상단 오더 블럭 영역을 터치 후 가격 하락으로 이끌어간다.
두 번째 함정 전략
아래 차트는 하락 추세를 보여주며, 왼쪽 첫 구조 붕괴 이전에 동일 고점(EH)을 형성하며 유동성 영역이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유동성 스윕 패턴을 형성하면서 오더 블럭 영역을 터치한 후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가격은 유동성 스윕 없이 하락하면서 트레이더들은 혼란을 겪게 된다.
이후 가격은 두 번째 구조 붕괴(BOS)가 형성되기 전, 자연스럽게 두번째 영역까지 도달 후 하락했다.
이는 트레이더들이 하락 진입 시점으로 판단하기에 적절한 구간으로 보일 것이다.
(이때, 이전 반응하지 않은 영역과 유동성 영역은 까맣게 잊고 있을 것이다.)
결국 가격은 첫 번째 오더 블럭 영역을 터치하면서 소액 트레이더들의 유동성을 확보하며 가격을 하락으로 이끈다.
세 번째 함정 전략
시장 조성자는 하락 채널의 상단 부근에 도달한 가격을 하락, 상승 진입으로 유도하며 유동성을 확보한다.
이후 가격은 채널 상단을 돌파하며 상승 흐름을 보여주며, 트레이더들이 상승에 동참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하지만 시장 조성자는 가격을 급격하게 빼면서 트레이더들의 유동성 풀을 휩쓸고 가격을 다시 상승으로 이끈다.
함정 피하는 3가지 방법
- 유동성 구역을 먼저 확인하라
- 매수/매도 전, 유동성이 쌓인 구역(동일 고점/저점, 추세선 돌파 지점)을 파악
- 예: 상승 추세라면 과거 저점 아래의 유동성이 청산될 가능성을 염두에 둔다.
- 유인 영역에서의 무분별한 진입을 피하라
- 오더 블록, 지지·저항 구역에서 단순히 "반등 예상"으로 진입하지 말자
- 가격이 확실히 구조를 깨고 유동성을 청산한 후 따라가자.
- 고시간대(HTF) 추세를 우선시하라
- 일간·주간 차트에서 주요 추세를 확인하고, 단기 조정에 휘둘리지 말자
- 예: 일간 차트의 하락 추세에서 분봉 차트 단기 상승은 "유도"일 가능성이 높다.
실전 차트 예시
상승 추세 차트에서 추세 변화(CHOCH)가 이루어진 후 구조 붕괴(BOS)를 형성했다.
두 번째 구조 붕괴(BOS) 영역에서는 동일 고점(EH)의 유동성 패턴이 보였으며, 트레이더들은 유동성 스윕 이후 하락을 예상한다.
하지만 가격은 유동성 스윕 없이 구조 붕괴(BOS) 패턴을 보이며 하락했다.
이후 만들어진 오더 블럭 영역에서 가격은 정상적으로 하락하는 것처럼 보인다.
시장 조성자는 다음 만들어진 유인 영역(오더 블럭)에서 소액 트레이더들의 유동성을 확보한 후 반응하지 않았던 오더 블럭 영역을 터치한 후 하락으로 이끈다.
참고
[유튜브]
Smart Risk - Why You Fail With Smart Money Concept & ICT|Liquidity and Inducement Traps
'트레이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T 시장 구조 분석: 시장 분석 방법 & 공정 가치 갭(FVG) (0) | 2025.02.24 |
---|---|
ICT 시장 구조 분석: 추세 읽기와 반전 신호 포착의 핵심 (0) | 2025.02.23 |
소액 계좌 성장을 위한 최고의 프라이스 액션 데이 트레이딩 기법 (0) | 2025.02.18 |
스마트 머니 유동성 거래 전략: 고승률 진입/청산 포인트 마스터하기 (0) | 2025.02.17 |
스마트 머니 트레이딩 전략: 3가지 고급 기법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