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시장 구조 분석: 추세 읽기와 반전 신호 포착의 핵심

트레이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시장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시장 구조 분석을 통해 현재 추세, 잠재적 반전 지점, 그리고 전반적인 시장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ICT(Inner Circle Trader) 개념을 기반으로 시장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과 유효한 매매 기회를 찾는 법을 설명한다.

 

시장 구조란 무엇인가?

시장 구조(Market Structure)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한다.

  • 스윙 고점(Swing Highs)과 스윙 저점(Swing Lows)
  • 가격 움직임(Price Movements)
  • 이전 반응 영역(Reaction Zones)

이러한 요소들은 시장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골격 역할을 한다.

 

ICT 시장 구조 개념

일반적인 상승 시장의 흐름은 더 높은 고점(HH), 더 높은 저점(HL)의 가격을 만들면서 상승한다.

 

상승 추세가 계속 유지된다면 가격은 이전 고점(HH)을 돌파하며 구조 붕괴(BOS)를 만들며 계속 상승을 유지한다.

 

이후 상승의 힘이 점점 떨어지며 이전 저점(HL)을 하락 돌파하는 추세 변화(CHOCH) 과정이 진행되는데 이 경우 추세 변화의 신호로 볼 수 있다.

 

유효한 구조 붕괴(BOS)와 추세 변화(CHOCH) 판별법

구조 붕괴(BOS)의 경우, 이전 고점(HH)을 윗꼬리로 돌파하더라도 유효하다고 볼 수 있다.

이때, 이전 디맨드 영역에서 매수 진입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추세 변화(CHOCH)의 경우, 이전 저점(HL)을 캔들의 몸통으로 돌파 후 마감해야 추세 변화로 볼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시장은 아직 상승 추세로 볼 수 있다.

 

 

아래 차트에서 유효한 추세 변화(CHOCH)를 찾는다면 어느 부분이 될 수 있을까?

위에서 배운 내용으로 참고하여 보았을 때 아래 차트와 같이 영역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정말 유효한 추세 변화를 찾으려면 전체 시장 흐름에서 스윙 하이, 스윙 로우를 식별하고 이전 저점(HL)을 캔들 몸통으로 깨며 하락하는 영역을 찾아야 한다.

 

아래 차트에서는 추세 변화 조짐은 없었다.

 

 

시장의 프랙탈적 성질

시장은 여러 시간 프레임에서 동시에 작용하는 프랙탈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4시간 차트에서의 강한 상승세가 1시간 차트에서는 여러 개의 구조적 움직임으로 나타낸다.

소규모 추세 반전이 발생하더라도, 큰 시간 프레임에서의 방향성이 유지된다면, 이는 일시적인 움직임일 가능성이 크다.

 

그러니 진입 시점을 볼 때 큰 시간 프레임의 시장 흐름에 맞춰서 진입하는 것을 권고한다.

(최고의 진입 타이밍은 더 높은 시간 트레임과 더 낮은 시간 프레임에서 같은 방향을 볼 때이다.)

상승 추세에 상승 진입 [O]

 

 

상승 추세에 하락 진입 [X]

 

유효한 공급·수요 구역 3대 원칙

ICT 개념에서 시장 구조란 누가 시장을 통제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는 공급과 수요의 힘에 따라 결정되며, 유효한 서플라이 존과 디맨드 존을 판단하는 데는 세 가지 기준이 있습니다. 
이러한 유효한 레벨이 조정되거나 돌파·붕괴될 경우, 우리는 시장의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2025.02.06 - [트레이딩] - 오더블럭(Order Block)으로 시장의 핵심 구간을 포착하자

 

오더블럭(Order Block)으로 시장의 핵심 구간을 포착하자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은 수요 영역(지지 구간)에서 매수하고, 공급 영역(저항 구간)에서 매도하는 기본적인 원칙을 따른다.하지만 모든 영역에서 중요한 지지와 저항이 이루어지진 않는다. 결

brainquests.tistory.com

 

2025.02.07 - [트레이딩] - 초보자를 위한 스마트 머니 트레이딩 전략 핵심 원칙 정리

 

초보자를 위한 스마트 머니 트레이딩 전략 핵심 원칙 정리

스마트 머니 트레이딩은 대형 금융기관의 거래 전략을 따라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마트 머니 트레이딩 시스템의 6가지 핵심 원칙을 쉽게 정리해 보았다. 1. 오더블럭

brainquests.tistory.com

 

1. 불균형(Imbalance)

 

2. 구조 붕괴(BOS) &  추세 변화(CHOCH)

 

3. 미반응 영역(Unmitigated Zone)

 

 

ICT 시장 구조 패턴 활용 (매매 기회 포착)

1. 시장 반전 패턴(Market Flip)

추세가 약화되면서 발생하며, 구조 붕괴(BOS) 및 불균형(Imbalance)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상승장에서 수요 구역(Demand Zone)이 형성되었지만 새로운 전고점(HH)를 만들지 못할 경우, 하락 반전의 신호로 볼 수 있다.

 

 

아래 차트는 최근 불균형(Imbalance) 캔들과 구조 붕괴(BOS)를 만들려 상승 추세를 보였다.

 

이후 시장은 디맨드 영역까지 도달 후 상승 했지만, 새로운 고점(HH)을 형성하지 못한 채 결국 하락 돌파하면서 유효한 추세 변화(CHOCH)를 만들었다.

 

이로 인해 공급 구역(Supply Zone)이 형성되었으며, 가격이 이 해당 영역에 도달하면 매도 진입을 고려할 수 있다.

 

2. 유동성 확보 패턴(Liquidity Grab)

많은 트레이더들이 가짜 돌파(Fake Out)로 인해 잘못된 방향으로 진입하는 경우 발생한다.
시장 조성자는 이러한 유동성을 활용하여 유효한 공급/수요 구역을 테스트한 후 기존 추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아래 차트는 더 높은 고점(HH)과 더 높은 저점(HL)을 형성했지만, 불균형(Imbalance)을 만들지 않았기 때문에 유효한 수요 영역으로 간주할 수 없다.

 

반면, 상승 이전의 차트를 보면 완벽한 불균형(Imbalance)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발생한 추세 변화(CHOCH)는 유효하지 않으며, 이 움직임은 유동성 확보(Liquidity Grab)일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매수 주문은 오더 블록(Order Block) 위에 스프레드 크기만큼 올려 배치하고, 목표 지점은 다음 시장 구조 레벨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전략은 위험 대비 보상 비율(Risk-to-Reward Ratio)이 우수하며, 승률이 50% 이하일지라도 장기적으로는 수익을 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예상대로 가격이 움직였을 경우 일부 이익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

[유튜브]

Smart Risk - ICT Setup Part 1- Market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