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머니 트레이딩은 대형 금융기관의 거래 전략을 따라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마트 머니 트레이딩 시스템의 6가지 핵심 원칙을 쉽게 정리해 보았다.
1. 오더블럭 (Order Block)
중앙은행이나 대형 기관이 특정 가격대에 대량 주문을 집중시켜 시장에 급격한 움직임을 일으키는 영역이며, 가격이 이 영역에 재차 도달하면 똑같은 반응(급락/급등)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
오더블럭(Order Block)으로 시장의 핵심 구간을 포착하자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은 수요 영역(지지 구간)에서 매수하고, 공급 영역(저항 구간)에서 매도하는 기본적인 원칙을 따른다.하지만 모든 영역에서 중요한 지지와 저항이 이루어지진 않는다. 결
brainquests.tistory.com
2. 불균형 (Imbalance)
시장에서 매수세 또는 매도세 한쪽으로만 쏠린 상태를 의미한다.
3. 구조 붕괴 (Break of Structure, BOS)
가격이 이전 고점/저점을 돌파해 추세가 지속됨을 확인하는 신호로 이용할 수 있다.
예) 상승 추세에서 고점이 계속 높아질 때 BOS가 확인되면 추세 추종 매수 진입.
4. 추세 변화 (Change of Character, CHOCH)
기존 추세의 힘이 약화되며 반전 신호가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지속적인 하락 추세 속에서 갑자기 이전 고점을 돌파하며 추세 전환이 이루어지고,
새로운 고점이 형성되면서 상승 반전의 가능성이 나타날 때.
지속적인 상승 추세 속에서 갑자기 이전 저점을 돌파하며 추세 전환이 이루어지고,
새로운 저점이 형성되면서 하락 반전의 가능성이 나타날 때.
지속적으로 저점을 갱신하다 이전 이전 고점(LH)를 갱신하는 추세 변화가 이루어졌다.
이후 오더블럭(OB) 부근에서 상승 포지션을 잡았을 때 강력한 상승 추세가 발생할 수 있다.
아래 차트에서는 상승 추세 후 구조 붕괴(BOS)가 이루어지지 않고 이전 저점을 낮추는 추세 변화(CHOCH)가 발생했다.
오더블럭(OB) 위치를 설정하고 하락 포지션으로 진입해 볼 수 있다.
5. 비효율성 (Inefficiency)
캔들 사이에 갭이 생겨 미결제 주문이 남은 구역을 의미한다.
이렇게 발생한 갭은 가격이 다시 돌아와 해당 영역을 다시 채우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6. 유동성 (Liquidity)
시장 움직임을 촉진하는 대규모 주문이 모여 있는 구간을 말하며, 시장의 역동성을 위해 중요하고 필수적인 요소다.
참고
[유튜브]
Smart Risk - Smart Money Trading Strategy Course For Beginners (full course)
'트레이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켓 메이커(세력)의 함정을 피하고 수익 얻는 고급 트레이딩 전략 (0) | 2025.02.10 |
---|---|
최고의 추세선 트레이딩 전략 (고급) (0) | 2025.02.10 |
최고의 오더 블록 트레이딩 전략 (고급) (0) | 2025.02.08 |
간단하고 수익성 있는 스윙 트레이딩 기법 (0) | 2025.02.06 |
오더블럭(Order Block)으로 시장의 핵심 구간을 포착하자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