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 머니의 기본 개념 이해하기
누가 시장을 통제하는가?
아래 예제를 보면, 가격이 상승 추세를 따라 움직이며 더 높은 고점과 더 높은 저점을 형성하는 모습입니다. 매번 가격이 비효율적으로 구조를 위쪽으로 돌파할 때마다 수요 영역이 생성됩니다. 아직 가격이 이 영역들에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수요 영역은 반응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으며, 지배적인 상승 추세를 향해 나아갈 완벽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그러나 이 유효한 수요 영역 아래로 가격이 깨지면 이는 '추세 변화(change of character)'라고 불리며 두 가지 중요한 사실을 나타냅니다.
첫째, 공급이 수요를 장악했다는 것이고,
둘째, 유효한 공급 영역이 형성되었다는 것입니다.
이후 가격은 계속 아래로 밀려 내려가며 공급 영역을 만들어냅니다. 그러다 가격 앞에 위치한 다음 반응하지 않은 수요 영역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 수준에 도달한 후에는 공급과 수요 간의 치열한 싸움이 벌어집니다. 이때 시장에서는 세 가지 일반적인 시나리오를 목격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시장이 수요 수준을 하향 돌파하면 강한 약세 모멘텀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시장이 공급 영역으로 되돌아오면, 우리는 하락 추세에 맞춰 숏 포지션을 취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반대로 시장이 공급 수준을 상향 돌파하며 추세 변화를 일으킵니다. 이는 단기 하락 추세가 끝났음을 의미하며, 가격이 계속해서 상승할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이 경우 우리는 상승 추세에 맞춰 수요 영역에서 롱 포지션을 취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두 영역 사이에서 시장이 일정 기간 횡보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각 영역을 돌파하는 방향에 따라 누가 시장의 통제권을 쥐는지 결정됩니다.

차트의 왼쪽에서 시작하면, 아래로 구조가 붕괴되며 공급이 통제권을 잡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이 스윙 최고점 아래에 머무르는 한, 공급이 여전히 지배적임을 나타냅니다. 또 다른 구조가 깨지고 유효한 영역이 형성되면서, 이 영역 아래에 머무르는 동안 공급이 통제권을 유지합니다.

이제 시장이 이 공급 영역을 상향 돌파하고 그 위에서 마감된다면, 이는 '추세 변화(change of character)'가 발생한 것입니다. 이는 공급이 시장을 더 낮추는 데 실패하고 수요가 주도권을 잡았음을 보여줍니다. 만약 공급이 여전히 통제하고 있었다면, 이 영역에서 거부 반응이 나타나며 또 다른 잠재적인 시장 구조 하락으로 이어졌을 것입니다.
그 후 시장은 명확한 비효율성을 남기며 급격히 상승하고, 극단적인 수요 영역을 생성한 뒤 계속해서 위로 밀어 올리며 거래 가능한 더 많은 수요 영역을 만듭니다. 이 수요 영역들은 각각 잠재적인 매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영역은 우리의 첫 번째 목표에 도달하여 시장이 반전되고 특성 변화가 일어나기 전에 최소한 손익분기점에 도달하게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특성 변화는 100% 유효하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명확한 비효율성과 그 바로 아래에 위치한 유효한 수요 영역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 영역은 가격이 내려와 갭을 채우고 유동성을 확보한 뒤 다시 상승을 추진하도록 자석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삼중 바닥(triple bottom) 패턴이 나타나며 이는 완벽한 유동성 영역으로 작용합니다. 많은 손절매 주문이 그 아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앞서 논의한 시나리오와 동일하게, 첫 번째 영역 바로 아래에 명확한 비효율성과 유효한 수요 영역이 존재하며, 이는 유동성 쓸어내기(liquidity sweep)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시장 구조 파악하기
시장 구조는 주요 수준, 시장 방향, 스윙 고점과 저점, 그리고 잠재적인 거래 기회와 같은 필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스마트 머니 시장에 대한 몇 가지 기본 개념을 소개하겠습니다.
이상적인 상승 추세에서는 시장이 계속해서 더 높은 고점과 더 높은 저점을 형성합니다. 시장이 구조를 상향 돌파할 때마다 수요 수준이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우리가 이 돌파를 만든 영역 위에 머무르는 한, 수요가 시장을 통제하며 시장 분위기는 강세를 띱니다.
하지만 이 수준 아래로 돌파하고 마감되면, 이는 '추세 변화(change of character)'라고 부르며 반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같은 개념은 약세 시나리오에도 적용됩니다.

그러나 문제는 시장이 항상 명확하게 움직이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아래 예시 돌파 중 어떤 것이 유효한 추세 변화일까요?

이 질문에 답하려면 먼저 강세 시나리오에서 스윙 저점을 식별해야 합니다. 두 연속 고점 사이의 가장 낮은 지점이 스윙 최저점으로 정의됩니다. 여기 두 개의 연속 고점이 있으니, 그 사이의 최저점이 바로 스윙 최저점입니다.
가격이 이 수준 위에 머무르는 한, 시장은 강세를 유지하며 우리는 매수 기회만을 찾을 것입니다. 유효한 추세 변화를 확인하려면 캔들이 이 수준 아래로 돌파하고 마감해야 합니다.
이 움직임으로 구조가 또다시 깨지면, 두 연속 고점 사이의 최저점을 다시 스윙 최저점으로 식별합니다. 또 다른 두 연속 고점과 스윙 최저점이 나타나고, 이를 종합하면 시장 분위기는 여전히 강세입니다. 약세 시나리오에도 동일한 개념이 적용됩니다.

시장 구조 - 패턴 #1
아래 유효한 오더 블록(order block)과 롱 포지션을 취할 수 있는 잠재적인 거래 기회가 있습니다. 하지만 왼쪽을 보면 첫 번째 오더 블록 바로 아래에 캔들 사이의 갭과 또 다른 유효한 오더 블록 영역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 갭은 가격이 내려와 채워지고, 균형을 회복하며 첫 번째 오더 블록 아래의 유동성을 확보한 뒤 상승을 이어가도록 자석 역할을 합니다. 두 번째 오더 블록이 반응하게 되면 가격은 계속 위로 밀려 올라갑니다.
여기서 두 가지 중요한 점을 짚겠습니다. 첫째, 거래를 시작하기 전에 왼쪽을 확인하여 불필요한 위험을 피해야 합니다. 둘째, 이 패턴이 형성되고 첫 번째 오더 블록 바로 아래에 갭과 또 다른 유효한 오더 블록이 있을 경우, 이 돌파를 유효한 추세 변화로 간주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이 움직임이 단순히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일 가능성이 높고, 반드시 반전을 의미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시장 구조 - 패턴 #2
두 번째 패턴을 보겠습니다. 여기 유효한 오더 블록이 있으며, 왼쪽을 보면 이 움직임이 동일한 저점 아래의 유동성을 쓸어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향후 움직임을 촉진할 연료가 될 수 있습니다. 이 패턴이 형성되고 동일한 저점이나 고점 아래 또는 위의 유동성을 잡는 오더 블록이 있다면, 시장이 계속 전진할 수 있다는 강력한 신호입니다.

시장 구조 - 패턴 #3
세 번째 패턴은 더블 탑(double top)과 더블 바텀(double bottom)입니다. 이는 매일 나타나는 최고의 프라이스 액션 반전 패턴 중 하나로, 시장이 구조를 돌파하여 새로운 더 높은 고점이나 더 낮은 저점을 만들지 못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모멘텀 손실, 시장 구조 전환, 상위 시간대 주요 수준 도달 등 여러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단기 추세가 끝났고 반전이 다가올 수 있다는 초기 신호입니다.

시장 구조 - 패턴 #4
네 번째는 가짜 아웃(fake out)입니다. 가짜 아웃 또는 실패한 돌파는 가격이 시장 구조 수준을 돌파했지만 즉시 범위 내부로 되돌아올 때 발생합니다. 이는 판매자가 모멘텀을 잃어 시장을 낮추는 데 실패했음을 나타냅니다. 반면, 스마트 머니 트레이더로서 이 움직임을 유동성 쓸어내기로 식별할 수 있습니다.

유동성 영역 파악하기
유동성 영역은 트레이더들이 시장에 참여하는 곳입니다. 우리는 전통적인 트레이더들에게 여러 차례의 가격 거부가 흥미로운 진입 수준이라는 점을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영역에는 많은 손절매 주문이 쌓이고 유동성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스마트 머니는 트레이더들의 손절매를 모두 쓸어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손절매가 정리된 후 거래에 진입하고자 합니다.

스마트 머니 거래 전략 3가지
이제 스마트 머니의 기본을 알았으니, 실전에서 활용할 수 있는 3가지 거래 설정과 그 규칙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전략 1: 오더 블록 진입
- 설정 조건: 최근 시장에서 생성된 신선하고 유효한 오더 블록을 찾습니다. 오더 블록은 명확한 비효율성과 공정 가치 갭(Fair Value Gap)이 있어야 합니다.

- 진입 방법:
- 오더 블록 위에 스프레드 크기만큼 매수 주문을 설정합니다.
- 손절매(Stop Loss)는 스윙 저점 아래에 둡니다.
- 목표 설정:
- 첫 번째 목표: 위험의 2배 수익(2R)에서 포지션의 절반을 청산.
- 두 번째 목표: 가격 앞의 다음 주요 수준을 목표로 삼습니다.

🍯 꿀팁:
- 항상 시장 방향과 일치하는 추세 지속 설정에서 거래하세요.

- 상위 시간 프레임의 주요 수준을 확인해 가격의 여유 공간을 체크하세요.

- 구조를 확인해 유동성 잡기(liquidity grab) 위험을 피하세요.

전략 2: 유동성 스윕
- 설정 조건: 시장이 수요/공급 영역에서 유동성을 쓸어내고 오더 블록이 형성된 상황을 찾습니다.
- 진입 방법:
- 상승 추세: 수요 영역에서 매수, 손절은 영역 아래.
- 하락 추세: 공급 영역에서 매도, 손절은 영역 위.

- 실제 차트 예시:
- 5분 차트에서 상승 추세 중 깨끗한 비효율성과 오더 블록 발견 → 기관이 유동성을 확보한 후 가격 상승.

전략 3: 다중 시간 프레임 오더 블록
- 설정 과정:
- 상위 시간 프레임에서 시장의 방향과 오더 블록을 분석.
- 가격이 오더 블록에 도달하면 하위 시간 프레임으로 전환.
- 추세 변화 확인 후 진입.
- 진입 시나리오:
- 비효율성 발생: 오더 블록 생성 시 매수/매도 주문 설정.
- 비효율성 없음: 피보나치 0.618~0.786 구간 중간에서 진입.

- 실제 차트 예시:
- 상위 시간 프레임에서 오더 블록 영역 식별
- 5분 차트로 확대: 진입 신호 찾기(추세 변화)
- 오더 블럭을 발견했다면 해당 영역을 기준으로 포지션을 설정하며, 만약 발견하지 못했다면 피보나치 되돌림 수준으로 진입 시점을 설정



참고
[유튜브]
Smart Risk - Top 3 Smart Money Trading Strategy
'트레이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레이더를 속이는 시장의 함정, 유도 영역(Inducement Zones) 완전 정복 (0) | 2025.03.19 |
---|---|
고품질 오더 블록 식별 및 트레이딩 전략 (고급 가이드) (0) | 2025.03.14 |
고급 스마트 머니 트레이딩 전략: 확률 높은 POI 및 오더 블록 식별법 (0) | 2025.03.12 |
7가지 최고의 데이 트레이딩: 프라이스 액션 시그널 (0) | 2025.03.10 |
유동성 스윕 트레이딩 전략: 스마트 머니 컨셉(SMC) (0)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