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 메이커(세력)의 함정을 피하고 수익 얻는 고급 트레이딩 전략

마켓 메이커(세력)는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트레이더를 속여 잘못된 방향으로 진입시킨다.

이 글에서는 마켓 메이커의 전략을 역이용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며, 가짜 돌파(FAKE OUT) 패턴부터 진입 시점까지 핵심을 집중 분석한다.

 

기본 개념 정리

마켓 메이커(세력)는 트레이더를 속여 잘못된 방향으로 진입하도록 유도한 뒤, 유동성을 흡수하여 반대 방향으로 시장을 움직이며 큰 수익을 노린다.

etc-image-0

 

예로, 상승추세의 시장에서 마켓 메이커는 A지점에서 B지점까지 많은 수량의 주식을 매수하며 가격을 끌어올리고 싶어 한다.

etc-image-1

 

하지만 대부분이 예상하는 상승 추세에서는 매도보다 상승을 기다리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마켓 메이커는 속임수를 활용해 트레이더가 보유 물량을 매도하도록 유도한 뒤, 확보한 물량을 바탕으로 상승세를 이어간다.

 

etc-image-2

 

1. 추세

시장은 연속된 Higher High(고점) & Higher Low(저점) 또는 연속된 Lower High(고점) & Lower Low(저점)을 만들려 추세를 만든다.

하지만 아래 그림과 같이 뚜렷한 모습을 보이면 문제없지만 옆으로 횡보하거나 애매한 움직임을 보이면 어떤 상태인지 의문이 생긴다.

etc-image-3

 

 

아래 그림은 아직 상승 추세가 유지 중인가?

정답은 Yes이다. 이전 전저점(HL)을 깨지 않았기 때문이다.

etc-image-4

 

 

그렇다면 아래 그림에서는 어느 부분이 HL에 해당하는가?

etc-image-5

 

위 그림은 아직 전고점(HH)을 돌파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저점(HL)을 식별할 수 없으며, 아래 그림에서 전고점(HH) 돌파 시 저점을 기준으로 다음 전저점(HL)을 지정할 수 있다. 추후 새로 지정된 전저점(HL)을 깨는 추세가 나올 시 추세 전환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etc-image-6

 

 

4시간봉 차트에서 시장 흐름을 살펴보면, 하락 추세가 시작된 이후 Lower High(고점) & Lower Low(저점)을 형성하며 하락하다가, 이전 고점(LH)을 돌파하는 추세 전환이 발생했다. 이를 통해 하락에서 상승으로의 전환이 확인되었다.

etc-image-7

 

2. 거짓 돌파(Fakeout)

트레이딩에서 Fakeout(페이크아웃)거짓 돌파 또는 속임수 돌파를 의미합니다. 이는 가격이 특정 지지선(support)이나 저항선(resistance)을 돌파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해당 방향으로 지속되지 않고 다시 원래의 범위로 되돌아오는 현상이다.

 

etc-image-8

 

etc-image-9

 

 

3. 추세와 거짓 돌파를 이용한 대응 전략 (1)

1. 시장 추세 확인

etc-image-10

 

 

2. 지지 구간 및 거짓 돌파 확인

  • (거짓 돌파) 지지 구간을 이탈한 후 저항으로 전환되는 듯하지만 이를 무시하고 다시 지지 구간으로 복귀. (캔들 마감 여부가 중요)

etc-image-11

 

3. 지지 구간을 회복한 후 상승 추세를 지속하고 있으므로, 상승 캔들이 마감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진입 포인트를 설정한다.

etc-image-12

 

3. 추세와 거짓 돌파를 이용한 대응 전략 (2)

1. 시장 추세 확인

etc-image-13

 

2. 지지 구간 및 거짓 돌파 확인

etc-image-14

 

3. 저항 구간에 재진입한 후 하락 추세를 지속하고 있으므로, 하락 캔들이 마감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진입 포인트를 설정한다.

etc-image-15

 

참고

[유튜브]

Smart Risk - Market Makers Trading Strate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