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머니 트레이딩은 시장의 대형 기관 움직임을 분석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전략이다.
이 글에서는 공급·수요 반전, 특성 변화, 추세 지속 패턴을 활용한 3가지 핵심 고급 전략을 단계별로 설명하며, 전문가급 기법을 익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사전 지식: 전략 이해를 위한 필수 개념
1. 공급(Supply) & 수요(Demand) 영역
- 불균형(Imbalance)이 발생한 구간은 재차 테스트될 가능성이 높다.
공급 & 수요 영역을 식별할 때 아래 3가지 요소가 존재해야 한다.
1) 비효율성을 만들었는가?
- 비효율성은 불균형이 발생하여 만들어진 캔들 전후의 갭을 말한다. 이 갭은 채우기 위해 가격이 다시 돌아올 가능성이 크다.
2) 구조붕괴 및 추세변화가 이루어졌는가?
- 구조붕괴는 추세를 유지하는 성향을 갖고 있으며, 추세변화는 단기 추세가 변화하는 신호이다.
3) 유동성이 만들어졌는가?
- 유동성에는 여러 가지 유형이 있지만, 이 글에서는 동일 고점 및 동일 저점에 주목한다.
2. 오더블럭(Order Block)
- 오더블럭은 공급 및 수요 영역으로 최적화되어 있다.
- 오더블럭에 대한 내용은 아래 글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2025.02.06 - [트레이딩] - 오더블럭(Order Block)으로 시장의 핵심 구간을 포착하자
오더블럭(Order Block)으로 시장의 핵심 구간을 포착하자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은 수요 영역(지지 구간)에서 매수하고, 공급 영역(저항 구간)에서 매도하는 기본적인 원칙을 따른다.하지만 모든 영역에서 중요한 지지와 저항이 이루어지진 않는다. 결
brainquests.tistory.com
3. 시장구조(Market Structure)
- 아래 예시(1시간)의 시장 흐름에서는 매수로 진입하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 하지만 상위 타임 프레임(4시간)에서 보았을 때 상단에 공급 영역이 존재할 경우 어떤 판단을 할 수 있을까?
- 아래 예시에서는 1시간 봉 차트 흐름에서 장기 하락 추세 후 단기 상승을 보이는 상황이며, 바로 위 4시간 봉 서플라이 존을 돌파하지 못했기 때문에 아직 하락 추세의 중점을 두고 시장을 지켜보는 것이 좋다.
- 만약 4시간 봉 서플라이 존을 돌파하는 경우 4시간 서플라이 존은 디맨드 영역으로 전환되며, 시장은 상승 추세로 볼 수 있다.
- 만약 상승 이후 서플라이 존을 추가 돌파에 실패하여 하락으로 돌파할 경우 시장 추세는 다시 하락으로 바뀐다.
스마트 머니 트레이딩 플랜
계획은 두 단계로 구성된다.
1) 높은 시간 프레임
- 시장의 방향성 확인(어느 세력이 시장을 컨트롤하는지)
- 공급&수요 영역 (오더블럭)
2) 낮은 시간 프레임에서 분석
- 공급/수요 반전 (Supply-Demand Flip)
- 추세변화 (Change of Character)
- 추세지속 (Continuation)
스마트 머니 트레이딩 예시 (1)
1) 높은 시간 프레임
높은 시간 프레임에서 왼쪽을 살펴보면, 비효율(IFC) 캔들이 형성되면서 이전 고점을 돌파하는 구조 붕괴(BOS)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오더 블록(OB)을 설정한다.
이후 조정을 거친 뒤 추가 상승했지만, 이전 고점을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했기 때문에 상승했던 캔들의 하단을 디맨드 존으로 지정한다.
그 후 가격이 디맨드 존을 하락 돌파하면서 시장은 단기 하락 추세로 전환되었으며, 비효율(IFC) 캔들이 형성된 뒤 구조 붕괴(BOS)까지 진행되면서 최적의 매도 기회가 될 수 있다. 이때 목표가는 아직 도달하지 않은 하단 오더 블록 영역이다.
위 내용을 하위 시간 프레임(예, 1시간)에서 보았을 때 조금 더 상세한 진입 시점을 볼 수 있다.
2) 낮은 시간 프레임
공급/수요 반전(Supply-Demand Flip)은 이전 고점을 돌파하지 못하고 추세가 전환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때, 추세가 전환되면 기존의 공급/수요 영역이 반대 성향으로 변화한다.
차트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예시는 다음과 같다.
이전 고점을 돌파하지 못한 채 하락했으며, 그 과정에서 비효율 캔들이 형성되고 구조 붕괴가 발생했다.
이후 오더블록을 설정한 뒤, 목표가는 다음 디맨드 존으로 지정할 수 있다.
공급/수요 반전(Supply-Demand Flip)에서 중요한 점은 최근 형성된 영역을 비효율(IFC) 캔들이 생성되며 강하게 돌파할 때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높은 시간 프레임(예, 4시간)에서 설정한 오더블럭 영역을 낮은 시간 프레임(예, 15분)에서 보았을 때 오더블럭 영역에서 추세 변화(CHOCH)가 이루어 졌을 때 오더블럭 설정 후 진입 시점으로 볼 수 있다.
추세 지속의 경우 비효율(IFC) 캔들과 구조붕괴(BOS)를 이어가며 추세를 지속해 가며, 많은 진입 기회를 준다.
모든 진입이 성공하는 것은 아니며, 아래 그림과 같이 손절과 익절을 통한 리스크 관리를 수행할 경우 최종적으로 손익이 결정된다.
스마트 머니 트레이딩 예시 (2)
왼쪽부터 보았을 때 높은 시간 프레임(예, 4시간)에서 시장 흐름을 파악하고 오더블럭 영역을 설정한다.
다음 낮은 시간 프레임(예, 1시간)에서 단기 상승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동성 확보(동일 고점 패턴)가 발생한 것 또한 확인했다.
마지막 낮은 시간 프레임(예, 15분)에서는 공급/수요 반전이 확인되어 진입 시점을 볼 수 있다.
참고
[유튜브]
'트레이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액 계좌 성장을 위한 최고의 프라이스 액션 데이 트레이딩 기법 (0) | 2025.02.18 |
---|---|
스마트 머니 유동성 거래 전략: 고승률 진입/청산 포인트 마스터하기 (0) | 2025.02.17 |
쉽고 효과적인 1분봉 스마트 머니 트레이딩 스캘핑 전략 (0) | 2025.02.12 |
전문가처럼 지지선과 저항선 그리는 법: 고급 기법 총정리 (0) | 2025.02.12 |
마켓 메이커(세력)의 함정을 피하고 수익 얻는 고급 트레이딩 전략 (0) | 2025.02.10 |